본문 바로가기
육아노트

“신생아는 왜 물을 먹이면 안 될까?" - 6개월 전 아기 물 섭취의 오해와 진실

by 태그베이비(#BABY) 2025. 6. 28.
728x90

신생아는 왜 물을 먹이면 안 될까? 이미지

 

“우리 때는 여름에 끓인 보리차도 먹였는데 요즘은 물도 안 준다더라.”

 

이런 이야기, 한 번쯤 들어보셨죠?

과거와 달리 최근 소아청소년과 지침은 ‘신생아에게 물을 먹이지 않는다.’가 정설입니다.

 

이유는 단순합니다. 생후 6개월 이전 아기에게는 물이 필요 없고, 오히려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에요.


🚫 생후 6개월 미만 아기에게 물을 주면 안 되는 이유

 1.  모유와 분유만으로도 이미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능해요!

 

 모유는 약 88%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분유 역시 물에 타서 먹이기 때문에 따로 수분을 보충할 필요가 없습니다. 즉, 모유나 분유 자체가 최고의 수분 공급원입니다.

 

 2. 물을 먼저 먹으면, 아기의 배는 중요한 걸 놓쳐요!

 

 신생아의 위는 매우 작기 때문에, 물로 배가 차면 정작 필요한 영양소 섭취가 줄어들 수 있어요. 결과적으로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고, 특히 저체중아나 영아기 초반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 3. 너무 많은 물, 아기 몸엔 독이 될 수 있어요!

 

 신생아는 콩팥 기능이 미숙해 과도한 수분 섭취 시 체내 나트륨 농도가 희석되며, 심한 경우 저나트륨혈증, 경련, 의식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요.


🍼 언제부터 물을 먹일 수 있을까?

아기 나이 물 섭취 가능 여부 비 고
0~6개월 ❌ NO  모유 · 분유로 충분 
6개월~ ✅ YES (소량부터)  이유식 시작과 함께 소량의 끓인 물 가능
12개월~ ⭕ 자유롭게  식사와 함께 자연스럽게 마실 수 있음

 

💡 6개월 이후에도 처음에는 한 번에 20~30ml 정도씩 천천히, 식사 중간중간에 제공하는 것이 좋아요.

신생아와 물 이미지

🧓 옛날엔 왜 물을 먹였을까?

  • 과거에는 모유의 영양학적 가치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부족하여 전반적으로 모유 수유보다 분유 수유율이 높았고, 수분 공급원으로서의 분유는 완전하지 않아 여름철엔 탈수를 막기 위해 미지근한 보리차나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곤 했어요.
  • 하지만 지금은 분유도 훨씬 개선됐고, 무엇보다 의학적으로 생후 6개월 전에는 물이 필요 없고, 오히려 해로울 수 있음이 입증된 상태입니다.

📌 요약하여 정리하면,

  • 생후 6개월 전엔 절대 물 X
  • 이유식 시작 이후에는 소량씩 천천히
  • 모유·분유만으로도 수분은 충분하다는 것, 기억해 주세요!

👶 육아 방식은 달라졌지만, 아기를 위한 마음은 같습니다.

누구보다 아기의 건강과 안정을 고민하는 부모님, 때론 과거 방식과 현대의 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지금의 육아는 더 과학적이고, 안전하며, 아기 중심으로 변화했어요.

 

작은 몸에 들어가는 한 방울까지도 부모의 고민이 깃든 선택이 되기를 바라며-
아기의 몸과 마음이 자라나는 모든 순간, 믿을 수 있는 정보로 함께할게요😊

728x90